- 목차 -
🏷️ 허위 신고가란?
🏷️ 허위 신고가란?
부동산에서
💬 “최근 신고가 찍었대요~”
하면 괜히 마음이 급해지죠?
‘신고가’는
그 집이 역대 최고가에 거래됐다는
뜻이잖아요?
그런데 문제는…
그 거래가 진짜로 돈이 오간
실제 거래가 아닐 수도 있다는 거예요 😳
그 거래가
✔️ 실제로 돈을 주고받은 거래가 아니라
✔️ 일부러 가격을 높여서 신고만 하고,
나중에 슬쩍 취소한 거래일 수도 있어요.
📌
이런 경우를
‘허위 신고가’라고라고 해요.
또는
‘가짜 실거래’라고도 하고요.
말 그대로
👉 실제로는 거래가 없었는데,
신고만 한 거래예요.
❗ 왜 이런 일이 벌어질까요?
부동산 시장에선
신고가 거래가 있으면
→ 주변 시세도 따라 올라가요
집주인이
매물 가격을 높일 수 있어요
그다음
→ 매물을 더 비싸게 팔기 위해
→ ‘신고가 거래’를 만들어버려요.
투자자들이
👉 분위기를 띄우기 쉬워요
그래서
일부 사람들이
→ 자기들끼리 거래한 척하거나,
→ 실거래 없이 신고만 하는 일이
아직도 벌어지고 있어요
집값을 인위적으로 올려서
분위기를 띄우는데
마치
💬 “지금 이 집이 이렇게 비싸게 팔렸어요~”
라고 속이는 거죠.
✅ 허위 신고가, 이렇게 구별하세요
① 실거래 후 ‘계약 해제’ 여부 확인하기
📌 국토교통부 실거래가 공개시스템에서
실거래가 조회 후
“해제” 여부 확인 가능해요
👉 보통 한두 달 안에 ‘해제’ 표시가 뜨면
허위 거래일 가능성 높아요.
✔️ 확인 방법:
• 해당 단지 클릭
• 거래일자별로 보다가
• [해제] 표시가 되어 있는 거래가 있는지 확인
예를 들면
• 2024.03.10 신고가 거래 6.5억
• 2024.04.15 ‘해제’ 표시
👉 허위 신고 가능성 높아요
② 신고가 후에 거래가 ‘뚝 끊겼는지’ 보기
진짜 시세라면
→ 비슷한 가격으로 계속 거래돼요
허위라면
→ 그 거래 딱 1건만 있고,
→ 그 뒤엔 거래 없음
이럴 때
신고가 거래는
심리만 자극한 가격일 수 있어요.
③ 비슷한 집이 그 뒤로 더 낮게 거래되었는지 확인
신고가 거래 직후,
같은 평형이
몇 천만 원씩 싸게 다시 거래된다면?
신고가 거래는 시세가 아닌,
👉 인위적인 가격일 가능성이 커요.
신고가가 7억인데
한 달 후 똑같은 평형이
6.3억에 거래됐다면?
→ 누가 10억에 샀을까요?
→ 진짜 거래일까요?
시세가 진짜 오른 게 아니라,
한 건만 튀었다는 신호예요.
이건
조작이거나,
급한 사람이 실수로
비싸게 산 거래 일 수 있어요.
④ 거래량이 거의 없던 지역에서 갑자기 신고가?
거래량이 거의 없던 곳에서
✔️ 갑자기 1건만
‘툭’ 튀어나온 신고가가 있다면
→ 허위 거래일 가능성 높아요.
예를 들어
• 3개월간 거래 0건 → 갑자기 신고가 1건
→ 그다음 거래 없음
이건 시세가 아니라
👉 ‘조작된 수치’ 일 수 있어요.
⚠️ 주의하세요!
이런 흐름은
집값 띄우기용
허위 신고일 가능성이 커요.
⑤ 주변 시세와 차이가 너무 크다면?
예를 들어
✔️ 같은 동, 같은 평형이 5억에 팔리다가
✔️ 어느 날 5.8억에 신고가?
이럴 땐 반드시
→ 이유와 근거를 따져야 해요.
📌 엘리베이터 앞 특호실인가?
📌 리모델링 비용 포함인가?
📌 아니면 그냥 띄우기일 수도 있는가?
→ 중개사에게 물어보면 힌트를 얻을 수 있어요.
⑥ 전세가 대비 갭이 너무 클 경우
✔️ 전세가 3억인데
✔️ 매매가 갑자기 5억으로 신고가?
→ 실거래 가능성 낮고,
→ ‘띄우기용’ 일 수도 있어요.
📌
특히
갭투자 활발했던 지역에서는
→ 전세 끼고 비싸게 팔리는 척 거래한 다음
→ 실거래는 안 하는 경우도 많아요.
⑦ 잔금 날짜 없이 계약 해제된 흔적
허위 거래는 대개
잔금까지 치르지 않고 계약 해제돼요.
부동산 중개인에게
물어보면
💬 “네, 그건 해제됐어요”
라고 말해주는 경우도 있어요.
공인중개사에게
정중히
💬 “이 거래는 실거래로 마무리된 건가요?”
라고 물어보세요.
단서를 얻을 수 있어요.

집을 고를 때 숫자 하나에
너무 의존하면 안 돼요.
“이 집 최근에 신고가에 팔렸다더라”
라는 말만 듣고
덜컥 마음 급해지지 마세요
특히 신고가처럼 눈에 띄는 거래는
그 가격이
✔️ 진짜 거래인지
✔️ 일시적인 거품인지
✔️ 다음 거래도 비슷한지
✔️ 조작된 것 아닌지
한 번 더 확인해야
→ 내 돈을 지키고, 후회 없는 선택을 하실 수 있어요.
앞으론 집을 알아보실 때
💬 “최근 실거래가 중 해제된 건 없나요?”
💬 “비슷한 평형이 얼마에 거래됐는지 보여주세요”
라고 자신 있게 물어보세요 😊
'부동산 '노른자' > 꿀팁 정보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아파트 세대수가 많으면 뭐가 좋은데요? 세대수 많은 아파트가 좋은 이유 (3) | 2025.04.19 |
---|---|
지금 사면 나중에 새 아파트? 주공아파트 재건축 가능성 5가지 체크사항 (0) | 2025.04.17 |
인테리어 했을뿐인데 불법!? 오피스텔 구조 변경 주의하세요 (1) | 2025.04.05 |
집값이 계속 올라도 신고가 매수는 절대 하지마세요! (1) | 2025.04.05 |
중개사고 어디에 신고하지? 부동산 중개사고 신고 사이트 3 (0) | 2025.04.03 |